우리동역사

  1. HOME
  2. 우리동소개
  3. 우리동역사

지명 유래

[구미동(九美洞)]
동명 유래는 설이 구구하여 어느 설이 정확한지 알 수 없다. 탄천이 굽이쳐 흐르는 곳에 마을이 위치하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일설에 의하면 마을 뒷산이 거북이 형국이라 구미(龜尾) 또는 구산(龜山)이라 한데서 연유되었다 한다.
또한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 지역이 김해김씨, 밀양박씨, 문화유씨 등의 아홉 성씨가 각각 아홉 개의 취락을 이루어 살아서 구성리(九姓里)라 하였는데, 그 성씨들의 음이 모두 다르므로 '구음(九音)'이라 하였고 또한 그들이 서로 화목하게 살고 사람들도 순박하여 '구순(九順)'으로 부르다가 아름다운 일이 많다하여 구미리(九美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금곡리와 동원리 경계 들판 가운데 있는 산이 거북이형국이라 거북이 그늘 즉, 구음(龜陰)이라 한데서 나온 이름이라고도 한다.

동의 유래

구미리는 조선시대에는 용인군 수지면 죽전동 일부와 원천동 일부 지역이었다. 구미동(九美洞)의 동명 유래는 설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설에 의하면 마을 뒷산이 거북이 형국이라 구미(龜尾) 또는, 구산(龜山)이라 한데서 연유되었다고 한다. 또한 전하는 바에 의하면 김해김씨- 밀양박씨- 문화유씨 등의 아홉 성씨가 각각 아홉 개의 작은 취락을 이루어 살고 있어 구성리(九姓里)로 불렀다. 그런데 9개 성씨가 그 음이 달라서 구음리(九音里)라고 하였고, 그 아홉 성씨가 모두 화목하게 살았고 사람들이 모두 순하기 때문에 구순(九順)으로 부르다가 아름다운 일이 많다고 하여 구미리(九美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는, 금곡리와 동원리 경계 들판 가운데 있는 산이 거북이 형국이라 거북이 그늘 즉, 구음(龜陰)이라 한데서 나온 이름이라고도 한다. 동원동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낙생면과 용인군 수진면 지역으로 동막동의 '동(東)'자와 원천동의 '원(遠)'자를 따서 만든 지명이며 광주군과 용인군의 경계가 되는 곳이었다. 옛 지명에 광주머내·동막골·샛터·안골·건개울께·부수골·서낭댕이,·오룡들·장승배기 등이 있다. 광주머내는 광주군에 있는 원천동으로 광주읍에서 가장 먼 곳이므로 머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동의 연혁

  • 1914년 :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용인군 수진면 죽전동(竹田洞) 일부와 원천동(遠川洞) 일부를 병합하여 광주군 낙생면 구미리(九美里)로, 광주군 낙생면 동막동(東幕洞)·원천동(遠川洞)과 용인군 수진면 원천동을 병합하여 동원리로 명명
  • 1970년 3월 6일 : 광주군 낙생면사무소
  • 1971년 9월 13일 : 경기도 성남출장소 편입(구미리, 동원리)
  • 1973년 7월 1일 :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에 따라 구미동?동원동으로 개칭
  • 1975년 : 낙생출장소에 편입
  • 1977년 : 행정동인 금곡동 관할
  • 1988년 7월 1일 : 성남시 중원구 금곡동 사무소 개소 (성남시 중원구에 편입)
  • 1991년 5월 27일 : 분당출장소 구 승격에 따라 분당구 관할로 변경
  • 2005년 3월 21일 : 구미동 일부와 동원동을 금곡동에서 분리 금곡2동 설치(구미동 29-1)
  • 2007년 11월 23일 : 현 청사 준공 (구미동 26번지) - 2008년 9월 22일 구미1동으로 명칭 변경 (구미동 26번지)